서유진 칼럼) 교정 브라켓의 종류와 선택 (결정장애 여기 보셔요)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한남동 샘치과 교정 전문의 서유진입니다.
브라켓 선택이 어려워요!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 속에서,
우리는 선택하고 결정해야 할 게 너무 많죠?
이런 용어가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저 역시 결정장애입니다.
이런 분들은 교정 치료를 해야겠다고 결심하기에도
정말 많은 고비를 넘기셨을 텐데,
그 다음 결정이 또 남아 있어요…
바로 교정 브라켓 (환자분들은 ‘교정기’라고 많이들 표현하시더군요.)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오늘 이 시간에는 브라켓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려 볼게요.
(투명 교정은 차치합니다.)
1. 철사를 묶는 방법에 따라
① 교정용 철사(와이어)를 브라켓에 의사가 수동으로 묶어 주어야 하는지
② 브라켓 자체가 와이어를 묶는 기능까지 하는지(자가 결찰)
와이어 결찰 방식과 자가결찰(self-ligating) 브라켓
자가 결찰은 브라켓에 클립 형태의
뚜껑이나, 홀더가 내장되어 있어서
와이어를 위치시키고 뚜껑만 닫아주면 끝나요.
하지만 묶는 방식은 사진에서 보시는 것처럼
브라켓과 와이어를 가느다란 결찰용 와이어로
꼬아 묶어 줘야 하기 때문에
진료 시간 자체가 더 길고,
양치를 하다가 잘못되면
꼬인 와이어의 꼬다리(?)가 튀어 나와
입술이나 잇몸을 찌르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또하나 교정 치료의 원리상으로는
자가 결찰이 치아 배열을 조금 더 빨리 해줍니다.
이렇게 말씀드리면
묶는 방식은 단점 밖에 없는 것 같지만,,
자가 결찰은 클립 부분이 고장날 수 있고,
치아가 회전되어 틀어져 있는 경우
묶는 방식은 의사가 치아에 발생하는 힘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요.
그리고 상대적으로 다른 컨디션이 동일하다면
묶는 방식의 치료비용이 더 저렴한 편입니다.
2. 브라켓 재료에 따라 3가지로 분류
브라켓이 어떤 재료로 만들어 졌냐에 따라서
3가지로 구분해 볼 있고,
여기서 눈여겨 보실 것은 색상과 강도(강한 정도), 가격입니다.
① Metal (금속)
② Ceramic (도자기)
③ Resin (플라스틱)
Metal은 금속 색상이 나기 때문에
심미성에서는 떨어지지만
금속이기 때문에 강한 힘에도 잘 버텨요!
그리고 나중에 교정 치료가 다 끝나고
장치를 제거할 때 상대적으로 덜 아픕니다.
Ceramic은
치아 색상이 나는 도자기라서 일단 색상이 이뻐요!
또한 교정 치료 기간 동안 어떤 음식을 먹어도 변색이 잘 안됩니다.
하지만 큰 힘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metal 브라켓에 비해 조금 더 두껍고 부피가 큽니다.
그리고, 장치 제거할 때 가장 통증을 많이 동반합니다. ㅠ
Resin은 쉽게 설명드려서 플라스틱이에요.
세 가지 재료 중
가장 저렴한 편에 속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에는 색상이 이쁘지만
평균 교정 기간인 2년이 지난 후에는 변색이 잘 되어 있어요.
플라스틱 반찬통이 변색되는 것처럼요.
그리고 옛날에 비해 많이 나아지긴 했지만
치아와의 부착력이 다른 재료에 비해 떨어져서
장치 탈락이 자주 일어날 수 있어요.
그리고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확실히 강도가 약합니다.
교정력에 변형될 수 있습니다.
가격은 제품마다 다 다르지만, 대략적으로
묶는 방식 < 자가 결찰
Resin < Metal < Ceramic
으로 보셔도 무방할 거 같아요.
환자분들이 들어보셨을 법한
클리피씨 라던지, 데이먼 이라던지,
이것은 제품명입니다.
각각의 제품들이
위에 설명드렸던 2가지 분류 안에서
조합되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브라켓을 선택할 때는 가격도 물론 중요하지만,
각각의 케이스마다 적합한 브라켓,
또 치료를 진행하는 의사에게 익숙한 브라켓도 있을 겁니다.
마치 어떤 식재료에 특화되어
더 풍미를 잘 살리는 쉐프가 있는 것처럼요!
교정 전문의를 찾아서 상담해 보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서유진 칼럼) 인비절라인, 비추 vs 강추 23.12.22
- 다음글이승현 칼럼) 진정 맛집 23.12.2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