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강의"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Dentistry Lecture

1950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수 시절

“이춘근치과”

Chungeun Rhee Dental Clinic

1983년

서울대 치과병원 퇴임 후 한남동에 자리잡은 이춘근치과

이승현 칼럼) 수면마취 후 어지러움과 구토 (PONV)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33회 작성일 24-03-15 15:19

본문

안녕하세요. 샘치과의원 입니다.  

오늘은 수면(진정)마취 후 발생하는

흔한 부작용 중에 하나인,

어지러움과 구토 증상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술 후 어지러움 과 구토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일명 PONV 라 불리는 이 증상은

사실, 수면(진정) 마취 뿐 아니라

전신마취 이후에도

흔하게 볼 수 있는 증상 입니다.

(전신마취 이후 약 30%의 환자가

이 증상을 호소합니다.)

PONV 가 발생하는 이유는

마취약제가 뇌의 한 부분인

뇌실(ventricle) 중에서도

제4뇌실(4th ventricle)

자극하게 되어 발생합니다.

0ff7cf63dd152b2a869f74c28c7a1ffe_1710483568_2258.png


이 부분은 약리학적인 자극

(유해한 약물이라고 인식하는 , 독)

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부분입니다.

항암 (Chemotherapy)

할 때도 이부분이 자극되어

환자분들의 구토감을 유발하게 됩니다.

PONV를 유발하는 요인들은 다양합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성별(여성), 흡연여부,

이전의 PONV 여부,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 여부,

마취제의 종류와 용량

등에 따라서 증상을 더 자주, 강하게 이르게 합니다.

흡인마취제(가스를 이용하는 마취제)가

보통은 PONV를 더 쉽게,

강하게 일으키는 편입니다.

나라에 따라 조금 다르기는 하지만,

전신마취는 대부분 흡인마취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술 후 PONV를 전신마취 했을 때

더 많이 경험하게 됩니다.

흡인마취가 아닌,

정주진정마취 (혈관을 이용한 수면(진정)마취)

를 주로 사용하는 치과 수면(진정)마취는

적절한 약물을 적절한 용량으로 사용하면

PONV를 유발할 가능성이 많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치과 수면(진정)마취 약물 중

PONV를 잘 유발하는 약물

한가지 있습니다.

바로 “케타민” 입니다.

저도 참 좋아라 하는 약물 중에 하나였습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최근에는 사용을 줄여 나가고 있습니다.

케타민은 특정 용량 이상 사용하면,

환자분의 PONV와 #환각 #악몽 증상이 심해져서

환자 만족도가 급격히 줄어들게 됩니다.

케타민은 특히나 신경정신과적인 약물이기

때문에 불안, 수면장애, 공황장애 를 보이는

환자분들에게는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현재 까지 약물중에서 PONV를 가장 적게 보이고,

오히려 PONV를 억제하는 항구토 효과까지 보이는

수면(진정)마취제 가 있습니다.

 

바로 프로포폴 입니다.


프로포폴을 사용하면, 다른 마취약제 또는

마약성진통제로 유발되는 구토 효과를

예방하기도 합니다.

PONV를 예방하는 약물이나

방법도 많기는 하지만, 가장 중요한건

발생 자체를 줄이는 노력이 아닐까 싶습니다.

PONV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multi-drug approach

(다양한 약물로 원하는 마취심도를 만들어 내는것)

를 사용하되, 적절한 용량으로

PONV를 유발하지 않게 하고,

어쩔 수 없이 PONV가 발생할 것 같을 때에는

#Dexamethaone 이나

#5-HT3 세로토닌 길항제 (#온단세트론)

같은 약물을 사용하여

증상을 억제 또는 감경 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특히 아산화질소 N2O 를 고함량으로 사용하면서

같이 정주진정마취를 하게 되면

PONV가 더 심하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샘치과의원은

수면에 진정 입니다.

가장 환자분에게 안전하고

편안한 수면(진정)마취를

연구하고, 정진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