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유진 칼럼) AI 교정진단 프로그램 Webceph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샘치과의원 교정과 전문의 서유진 입니다.
오늘은 저희 치과에서
교정을 진단하고 분석하는 과정과,
사용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 webceph을 소개하면서,
저희 샘치과에서 가 어떤 과정으로 분석하고 진단하는지 소개하려 합니다.
1st 내원 및 상담
환자분께서 교정을 문의하러 내원하시면,
먼저 교정전문의 ㅎㅎ 저와 만나시게 됩니다.
저는 환자와의 첫 만남, 첫 상담
이 과정이 가장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저희가 생각하는 객관적인
problem list 보다도
앞서 생각해야 할 것이 환자분의 주소
(chief complaint)
어떤 이유 때문에 교정을 받으려 하시는가?
를 파악하는게 매우 중요하기 때문 입니다.
대부분 환자분들의 주소는
한 문장으로 담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비대칭이 있는 것 같아요.” 라는 말씀 안에는
위에 턱에 비해서 아래턱이 한 쪽으로 쏠려 있고,
윗니가 아랫니보다 튀어 나와 있으며
웃을때 잇몸이 한 쪽만 많이 보이고,
시간이 지날수록 심해지는지 궁금하기도하고,
가급적 수술은 안하고 싶고,
투명교정으로 할 수 있는지,
비용은 얼마인지 등등등등
많은 부분이 담겨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이 첫 만남에 환자분과 면담을 하면서
언어적인 부분과
비언어적인 부분
까지 파악하면서
problem list를 하나하나 작성하게 됩니다.
2nd 이학적 검사 (Physical examination)
첫 면담이 문과적 감성으로
환자분의 주소(Chief complaint)를
파악했다면,
이제는 이과적 감성으로
환자의 치아, 골격관계, 턱관절 등을
분석 해야 하는 단계 입니다.
일단 엑스레이를 3종류, 3D 디지털 스캔 (#Trios4 ),
얼굴과 구강내 촬영을 합니다.
(필요 시 인상채득을 하기도 합니다.)
세팔로 (cephalo x-ray) 측면- 정면, 파노라마 x-ray
cephalo x-ray 측면은
머리뼈-윗턱뼈-아래턱뼈의
앞 뒤 위치 관계(옆모습, 측모)
cephalo x-ray 정면은
머리뼈-윗턱뼈-아래턱뼈의 좌 우 비대칭을
파노라마는 치아의 이상을 평가합니다.
이 때 등장하는 것이
두둥!! AI 진단 프로그램
#Webceph 입니다.
이 방사선사진들을 분석하여, 환자의
문제점들을 나열하고,
그것에 따라 진료 방향을 제시합니다.
물론, 디테일한 부분은 교정과 전문의가
확인하고 수정하는 단계를 거치기는 하지만,
AI 진단의 정확성 면에서 많은 진보를 느끼게 합니다.
웹셉은 단지 교정 영역 뿐만 아니라,
악교정수술 분석과
#가상수술 (Virtual surgery)에도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정의사와 수술의사 사이에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부가적인 기능으로,
교정, 수술 후 변화하는 얼굴 모습까지
예측하는 기능도 있어서,
필요 시 환자 안모를 예측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3D 스캔과 환자 안모분석 까지 마치면,
분석의 단계는 끝이 납니다.
3rd. 치료계획의 수립
재료는 다 갖추어 졌으니,
메뉴를 고를 시간 입니다.
환자분의 요청을
이루는 방법이 여러가지 일 수 있습니다.
브라켓교정, 세라믹교정, 투명교정 등
교정전문의 라면,
환자에게 가장 좋은 방법을 제시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겠죠.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계획 까지 전달 했다면,
남은건 좋은 치료로 마무리하는것 만 남았네요.
오늘은 샘치과의 교정 진단 과정과
그 중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는
AI 프로그램 #웹셉 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인공지능의 발전은
내 일자리를 가져갈까봐 ㅠㅠ
두렵기도 하지만,
얼마나 많은 변화를 가져올지
두근거리기도 합니다."
환자분의 편의와,
더 좋은 치료를 위해서라면,
변화를 두려워 하지 않는 샘치과의원이 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 이전글샘치과 뉴비들 소개합니다. 24.02.29
- 다음글이승현 칼럼) 치과공포증 극복이 가능할까요? 24.01.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